공지사항

  • 철학사상연구소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울대학교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 서울대학교 철학과
  • it4u
  • 서울대학교중앙도서관
공지사항
기타활동
2022-1 불교철학 콜로키엄 제3차 강연
분류 일반 날짜 2022-04-12 15:47 조회 1,943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에서는 6회에 걸쳐 불교철학 콜로키엄을 진행합니다. 모든 발표는 온라인 줌으로 진행됩니다.
그 세 번째 강연을 다음과 같이 진행하오니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제목: < 길장의 반실재론적 진리 이론: ‘모든 것이 거짓이기 때문에 모든 것이 참이다’는 논변의 양상논리적 이해 >
강연자: 이상엽 박사 (독일 하이델베르그 대학 포스트닥터 펠로우)
일시: 2022년 4월 18일 (월) 19:00-21:00
장소: 온라인 ZOOM 회의실 (https://snu-ac-kr.zoom.us/j/8238631155, ID: 823 863 1155)

강연자 소개:
이상엽 박사는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불교철학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를 마친 후 스탠퍼드 대학교 종교학과에서 중국 불교 신불멸론과 불성사상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수여하였다. 현재 미국 학술단체협의회(ACLS)와 홍콩 호 재단의 지원을 받아 하이델베르크 대학 포스트닥터 연구원으로서 인도 불교와 중국 불교의 관계를 사회문화사 및 비교철학사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최근 출판물로 T’oung Pao에서 2020년 출판된 “‘高僧’의 발명: 『명승전』연구를 통한 『고승전』편찬 과정의 이해” (The Invention of the ‘Eminent Monk’: Understanding the Biographical Craft of the Gaoseng zhuan through the Mingseng zhuan), The Eastern Buddhist에서 2021년 출판된 “『優婆塞五戒威儀經』菩薩戒本의 연구: 문헌적 연원과 역사적 의의” (The Bodhisattva Pratimoksa of the Youposai wu jie weiyi jing: Its Textual Provenance and Historical Significance), 일본 『印度學佛敎學硏究』에서 2022년 출판된 “승위 「십주경함주서」의 일심 개념에 대하여: 『대승기신론』의 일심 개념과의 연관을 중심으로”(僧衛「十住經含注序」の「一心」槪念について-『大乘起信論』の「一心」槪念との關連を中心に)가 있다.

강연 개요:
삼론종의 대성자 길장의 저술에서는 “모든 것이 거짓이기 때문에 모든 것이 참이다” (以一切?非故, 能得一切?是)와 같이 보편적인 부정으로부터 보편적인 긍정을 도출하는 논변이 적지 않게 발견된다. 종래 구미와 일본의 학자들에 의해 이러한 논변의 이해는 길장의 사상을 초월적 실재론의 일종으로, 구체적으로는 도가사상과 같은 일원론적 발생론의 일종으로 해석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길장에게 있어 형이상학적인 실재는 이분법적 사고와 언어적 구별을 초월한 단일자이기 때문에 모든 언어적 명제를 부정하는 동시에 긍정하는 비논리적인 논변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더불어 최근에는 길장 사상의 이러한 이해를 현대논리학의 양진주의(兩眞主義, dialethism)에 기반하여 정형화하려는 시도가 야스오 데구치, 그레이엄 프리스트와 같은 철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길장의 저술에서 현저히 발견되는 반실재론적 경향을 검토하여 이러한 주류적 이해의 한계를 지적하고, 나아가 “절대적 참” 및 “상황적 참”이라는 진리치의 양상을 도입하는 것을 통해 길장의 보편적인 부정으로부터 보편적인 긍정 도출의 논변을 그의 반실재론적 철학과 정합적으로, 나아가 양진주의와 같은 초일관논리체계(paraconsistent logic)에 의존하지 않고도 이해할 수 있음을 제시할 것이다.



주최: 서울대 철학과, 철학사상연구소
문의: withindharma@gmail.com (간사 정욱스님)